개발자 양성, 어떻게 할 것인가?

안녕하세요. 김수보입니다.

2022년 12월말,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재단을 떠나게 되었습니다.
3년 동안 있었던 경험을 긴 회고록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주요 내용은 42 Seoul(에꼴42 서울캠퍼스) 과 “새로운 교육모델”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 클릭 : pdf 파일 다운로드 (slideshare.net, 224페이지, 6.5MB)
– 스팸클릭 때문에 slideshare에 올려두었습니다.
–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학생들과 이것저것 도전을 해보기에 좋았다.)

이노베이션 아카데미는 과기부가 2019년에 설립한 민간 재단입니다.
개발자 지망생이 2,000명 넘게 모여, 함께 공부하는 커뮤니티 학교입니다.

여기에 오게 된 건 20년 넘게 개발자 부족으로 고생한 게 컸습니다.
한이 되더라고요.
그래서 젊은 친구들을 직접 길러 보고자 했었습니다.

커뮤니티 학교라 제가 직접 강의하는 교육모델은 아닙니다.
현재 3無 학습으로 유명한 “에꼴 42″를 들여와서 초기 프로그램으로 운영 중에 있습니다.

우리 만의 새로운 “혁신교육모델”을 만들고자,
많은 학생들을 관찰하고 많은 교육실험들을 했습니다.

개인면담 횟수가 1,200회가 넘고,
팀면담 횟수도 300회가 넘었네요.

(학생들 과제를 함께 코드리뷰 하는 모습)

사실 현업개발자가 일하는 방식을 학교에 포팅하려고 한거라,
기업 입장에선 특별할 게 없습니다.

하지만, 교육 쪽에선 새롭고 신선한 시도로 바라봐 주시더군요.

이 경험을 듣고 싶어하는 분들이 많아서,
그동안 질문들을 떠올리며 길게 정리해보았습니다.

다룰 내용이 넓다보니, 우선 청중을 “교육업계”로 한정했습니다.
“교육이론” 이야기가 많으니, 다른 분들은 지루할 수도 있습니다.

모든 걸 담지는 못했지만,
비슷한 시도를 해보고 싶어하는 분들에게는
분명히 도움이 될거라 믿습니다.

음, 내 수업이나 내 교실에는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

교수님이나 선생님들이라면 이미 많은 경험들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물어볼 곳도 많을 것 같고요.

만일 없다면, 저한테 메일을 보내주세요.
아는 범위 내에서 열심히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책처럼 정리하긴 했는데, 논문처럼 생각해 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kimsubo@gmail.com, 김수보 (전) 멘토단장,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 학생들을 물심양면으로 도와주셨던 “멘토”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 클릭 : pdf 파일 다운로드 (slideshare.net, 224페이지, 6.5MB)
– 스팸클릭 때문에 slideshare에 올려두었습니다.
–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WordPress.com 제공.

위로 ↑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