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글은 지난 "API 중심의 데이터 아키텍쳐"의비즈니스 버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사이트에도 비슷한 글들이 꾸준히 올라와서간단히 번역하고 넘어갑니다.저도 인프라를 만들면서 꽤 겪었던 일인데요.쉽지 않은 일이기도 합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제품이란 "온라인 비즈니스"입니다."IT 서비스"도 제품으로 접근하는 실리콘밸리의 최근 추세를 알 수 있습니다. "죽음의 덫, 기업용 소프트웨어의 악순환" 사례는다른 서비스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 많은 기능을 추가하기보다 필요한... Continue Reading →
API Version, Mediation 관리의 중요성
APIgee 블로그 글입니다. 오랜동안 번역을 미루어두었던 글인데 이제 꺼내봅니다. API 비즈니스를 하다보면, 여러가지 이유로 API를 중복 개발하거나 관리하게 됩니다. 아래는 그런 경우 Version을 분리하거나, API Mediation Layer를 만들라고 조언합니다. 플랫폼 설계에서 Mediation을 왜 만들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 잘 이해할 수 있는 기사입니다. 서버 기반의 대용량 플랫폼을 구축해본 분들은 일상적인 개념일 수 있지만, 처음이신 분들께는 생소할... Continue Reading →
플랫폼이란
플랫폼은 기본적으로 여러 사람들이 이용하기 편리하게 해준다는 의미를 갖는다. ※ 참조 :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세아향, 2012.07.06 일반적으로 플랫폼이라고 하면 제일 먼저 "기차역"을 상상합니다. 사전적으로는 이런 뜻이죠. "사람들이 기차를 쉽게 타고 내릴 수 있도록 만든 편평한 장소." 풀어 보면 이렇습니다. plat(≒flat 편평한) + form(모습) 여러사람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겁니다. 즉, "플랫폼"이라고 할 때는 이런... Continue Reading →